방명록
- [aws] rds 만들기2024년 01월 08일 17시 49분 22초에 업로드 된 글입니다.작성자: @kimyu0218
RDS 생성하기
RDS란?
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,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, 운영하는 것을 좀 더 쉽게 만들어주는 웹 서비스다. 번거롭고 까다로운 작업을 제거함으로써 본질적인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집중할 수 있다.
일반적으로 DB 인스턴스는 vpc의 프라이빗 서브넷에 배치한다. 같은 vpc 내의 ec2에서 DB 인스턴스에 접근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vpc 바깥의 리소스에서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.
MySQL RDS 생성하기
rds 서비스에서 `databases`를 선택하고, `Create database` 버튼을 클릭한다.
`Easy create`를 선택하고, MySQL 엔진을 선택한다. 인스턴스 크기는 프리티어로 지정했다.
기존에 생성해놓은 ec2와 연결하기 위해 `Set up EC2 connection` 부분을 작성한다.
rds를 생성하고 vpc의 리소스맵을 확인하면 프라이빗 서브넷, 라우팅 테이블이 자동으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생성한 RDS에 접속하기
이제 생성한 rds에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. 프라이빗 서브넷에 배치해뒀기 때문에 ec2에서 접근해야 한다.
ssh -i ${KEY_PATH}.pem ubuntu@ec2-${PUBLIC_IP}.ap-northeast-2.compute.amazonaws.com -p ${SSH_PORT}
위의 명령어로 ec2 인스턴스에 원격 접속한다.
sudo apt install mysql-client-core-8.0
mysql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패키지를 다운로드 한다.
mysql -h ${RDS_ENDPOINT} -P 3306 -u ${MASTER_USERNAME} -p
mysql 명령어를 이용하여 rds에 접근한다. `RDS_ENDPOINT`는 사용하는 rds 상세 페이지에서 `Connectivity & security`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.
연결 성공!!
참고자료
'backen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ec2 스왑 공간 할당하기 (OOM) (1) 2024.01.08 [aws] vpc 설정하기 (Connection timed out 이슈/네트워크 acl) (0) 2024.01.03 [aws] ec2 인스턴스 만들기 (키 페어/보안 그룹) (0) 2024.01.01 [aws] aws 시작하기 (region/AZ/IAM) (1) 2024.01.01 다음글이 없습니다.이전글이 없습니다.댓글